티스토리 뷰



    영화<파묘>

     

    영화의 영역에서 공포의 장르는 인간의 오랜 두려움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한 분야였습니다. 많은 공포영화 분야 중에서도 오컬트 장르의 영화는 최근 개봉한 장재현 감동의 영화 '파묘"가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 영화는 오싹한 분위기와 우리나라의 역사와 전통을 같이 이야기하며 흥행을 달성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파묘>의 줄거리와 영화에 숨겨진 이야기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묘> 줄거리

    '험한 것이 나왔다'라는 포스터를 보면 알듯이 파묘는 묘를 이장하면서 건드리면 안 되는 무덤을 파면서 험한 것이 나오게 되면서 등장인물들이 겪게 되는 오컬트 영화입니다. 이야기 시작은 미국 LA에서 부자 가족이 화림과 봉길에게 일을 의뢰합니다. 알 수 없는 병이 대를 이어 장자에게 전해져 오면서 아버지와 본인을 물론 아기까지 대물림되고 있었습니다. 화림(김고은)과 봉길(이도현)이 입원해 있는 아기를 보고 조상의 묫자리가 문제가 있는 귀신병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대대로 있었을 것이고 아기뿐만이 아니라 병자가 또 있을 거라는 이야기를 하면서 의뢰인의 신뢰를 얻어 거액의 일처리를 맡게 되었습니다. 이장할 것을 권유하고 그 이장을 맡을 인물로 풍수가 상덕(최민식)과 영근(유해진)을 만나서 이장에 대한 의뢰를 하면서 네 명이 이장을 하는 일에 뭉치게 됩니다. 풍수사인 상덕은 풍수지리를 보고 흙의 맛을 보고 명당을 알아봐 주는 사람이며 장의사 영근과 함께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상덕이 방문한 이장할 묏자리는 개인 사유지로 쇠사슬로 묶여있고 불길한 분위기의 장소와 산꼭대기라는 기이한 자리와 묘와 상극인 여우와 이름조차 없고 설명도 없는 묘비에 위도와 경도만이 있는 초라한 묘를 보게 됩니다.

    심상치 않은 불길한 분위기를 느끼면서 풍수지리를 살펴보지만 '악지 중에 악지다' 하면서 이장을 반대하다가 딸의 결혼자금 문제가 있었고, 화림이 굿과 이장을 동시에 함께 하자는 말을 듣고 일을 진행하기로 합니다. 그렇게 시작한 파묘는 처음에는 별 이상 없이 잘 진행되었습니다. 꺼낸 관은 묘지에 비해 화려할 뿐 다른 일은 없었는데 일을 마치는 과정에서 인부가 갑자기 나오는 뱀을 놀라서 삽으로 죽여버리게 됩니다. 뱀의 비명이 울리면서 하늘이 검게 변하고 비가 쏟아지면서 화장하려 가는 길이 험악하여 비 오는 날 화장을 하지 않는 관례에 다음날로 미뤄 근처 병원 영안실로 가게 됩니다. 염을 하지 않고 화장을 해야 하는 관을 병원 관리자가 화려한 관을 보고 욕심에 관을 열게 되고 그 관에서 험악하고 화가 난 혼이 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그 혼을 아버지를 찾아가 죽이고 의뢰인을 죽이고 아기도 죽이려는 찰나 관을 태우는 바람에 다시 돌아가게 됩니다. 그와 동시에 뱀을 죽인 일꾼은 몸이 안 좋아지면서 상덕을 불러 그 뱀을 죽인 후 동티가 난 것 같다고 시신을 수습해 달라고 부탁을 합니다. 이 뱀은 누레온나 라는 요괴로 얼굴은 여인이고 몸은 뱀이라고 합니다. 뱀을 수습하러 가는 상덕은 수직으로 서있는 관이 발견하게 되는데 이것을 첩장이라고 합니다. 관이 2개 이상 겹쳐놓는 것이라는 첩장에 이상함을 느끼고 알아보니 기순애라는 스님이 묫자리를 알아봐 준 것인데 의뢰인의 할아버지가 친일파임을 이용해 첩장을 한 것입니다. 세로로 된 관을 미리 보아 두었던 절로 옮기게 되는데 관에서 다이묘 도깨비가 나오게 됩니다. 이 도깨비가  근처 축사를 엉망으로 만들고 인간을 죽이고 화림을 해지려다가 봉길이 막자 큰 상처를 입히고 다시 도깨비불이 되어서 묫자리로 돌아갑니다. 봉길을 사경을 헤매고 의식을 찾지 못하고 상덕을 절에서 봤던 도굴꾼들의 장비를 보고 생각난 것을 추적해서 전에 혼령이 말했던 '여우가 범의 허리를 끊었다'라는 이야기를 생각해 내고 한반도의 정기를 끊기 위한 일환으로 호랑이 모양의 산맥 한가운데 쇠말뚝을 박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화림과 상덕과 영근은 쇠말뚝을 제거하기 위해 나서고 은어를 준비해서 쇠말뚝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그 쇠말뚝이 정령임을 알게 되고 음양오행에서 철과 상극인 물과 나무를 대신하여 피를 도굴장비의 나무에 묻혀 정령을 없애게 됩니다. 

     

    알고 보면 재미있는 이야기

     

     

     

     

     

     

     

    이 이약기는 단순한 무덤을 파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공포영화로 만 끝나서는 안 되는 영화라는 것을 결말을 보면서 느끼게 된다 그에 각 이야기 화면마다 그곳에서 알 수 있는 이야기들을 보면 3.1절 날과 일제강점기 및 독립운동가에 대한 이야기까지 포함한 깊이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먼저 등장인물의 차번호를 찾아보면 영득의 운구차와 상덕의 차를 합치면 1945.8.15 광복절, 화림봉길은 19 무 0301로 1919.03.01로 3.1절 운동을 의미합니다. 또한 김상덕, 고영근, 이화림, 윤봉길 등 등장인물들이 독립운동가의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간에 나오는 여자머리를 한 뱀은 일본의 요괴 누레온나로 쇠말뚝을 위한 지키는 자로 표현되었으며

    관을 옮긴 보국사는 나라는 지킨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의뢰인 할아버지의 관을 묻을 곳을 알려준 기순애는 일본어로 키츠네 즉 여우를 의미하며 이는 대한민국의 지도가 범의 형상이므로 그 허리에 말뚝을 박아 정기를 끊으려고 한 것이고 묘비에 있는 숫자는 위도경도를 의미합니다. 범의 허리를 끊을 요량으로 관을 세로로 꽂아서 놓았고 그 관속에 있는 "험한 것"과 쇠가 함께 못의 역할을 했습니다. 세 자매의 도깨비 놀이는 예로부터 사람몸에 빙의된 것을 놀이로 해서 정보를 얻는 굿입니다. 영화 속에 나오는 봉길과 화림은 윤봉길의사와 이화림 독립운동가를 의미하는 동시에 이분들은 일본에게 폭탄투척사건에서 위장부부였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리고 도깨비, 일본장군 귀신 오니를 의미하는 도깨비는 음양사가 주술을 걸어 한국에 가져와서 말뚝의 역할을 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살펴보니 독립운동과 우리의 역사가 같이 곳곳에 숨겨져서 찾아보는 재미가 있는 영화였습니다. 

     

    후기

    파묘는 오컬트 영화임에도 관객을 몰입하게 만들고 대중이 알고 역사적으로나 전통적으로 알고 있을 만한 선에서 이야기를 진행해 나감으로써 대중성도 잘 잡은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공포영화를 잘 보지 못하는 저도 무섭지 않은 선에서 이야기가 한 가지로 국한되지 않으면서 전개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지루하지 않은 변화를 보면서 영화란 게 모두 그렇듯이 호불호는 있겠지만 재미있고 신선한 도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탄탄한 이야기 속에 지루 할 틈 없이 꽉 찬 배우들의 연기력은 영화를 더 높은 퀄리티로 끌어올렸다고 봅니다. 거슬리는 연기 없는 이름 값하는 배우 최민식과 유해진은 물론이거니와 인상적인 연기를 한 김고은은 다른 의미에서 파격적인 인상을 남겼습니다. 무당역을 하는데 너무 몰입감 있게 긴장하고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거기에 민족의 정기와 독립운동에 관한 이야기가 내포되어 있어서 보고 나서 더 생각하고 마음이 뿌듯해지고 일본에 대한 한탄을 하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물론 이야기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러운 도깨비의 출현은 뭐지 하는 반문을 일으켰지만 그것도 잠시 이약기의 흐름이 이어감에 사라졌지만 잠깐의 흐림의 끊김이라고 느껴지긴 했습니다. 그리고 나오는 장면들이 빠른 전개와 어두워서 장면장면에 대한 공포스러움이 오히려 반감된 부분이 없지 않다고 봅니다. 그래도 전체적으로 아주 흥미롭게 재미있는 소재라고 생각하면서 잘 본 영화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