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심리 사회 모델의 기원과 본질을 탐구할 때는 이 철학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한 맥락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모델은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인간 행동과 사회 구조의 복잡성에 대한 대응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맥락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그것들의 복잡성과 현대적 의미에서의 중요함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심리 사회 모델의 배경, 특징 및 기본가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심리사회모델의 등장배경

    심리사회모델은 특정한 한 가지 이론에서 발전된 것이 아니라 사회복지실천 활동이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에서 여러 방면으로 영향을 미친 사항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심리사회모델은 정신분석이론의 발달, 자아 심리학의 출현, 다양한 사회과학적 지식의 도입등과 함께 메리리치먼드의  연구에 의해서 발달되었습니다. 메리리치먼드를 기원으로 보는 심리사회모델은 자선조직협회에서 체험한 경험을 사실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를 전문사회복지실천활동으로 이끄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런 심리사회모델의 이론적 기반은 정신분석이론, 대상관계이론, 체계이론과 생태이론, 자아심리이론, 기타 사회과학이론, 실천을 통해 획득된 이론들이 그 기반이 됩니다. 

    먼저, 정신분석이론은 1900년대 초 전문직으로 승화하기 위해 사회복지사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과 교육을 할 때 정신분석이론은 사회복지실천이 이론적 체계를 잡을 수 있게 기여했습니다. 즉, 사회과학이론에 기반을 둔 사회복지실천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것이 정신분석이론입니다. 특히 정신분석이론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하여서 전문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이 체계화되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인간의 행동과 감정, 생각등이 무의식적인 충동에 의한 것이고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님을 주장하는 결정론적 관점을 따릅니다. 클라이언트가 통찰력을 가지고 자신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사항들은 심리사회모델의 직접적 기법에 영향을 많이 주었습니다. 

    또한, 대상관계이론은 정신역동이론으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론 이후에 나오게 되었으며 클라인과 위니콧 등에 의해 활성화되었습니다.  이 이론은 인간은 대인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겪었던 이미지나 기대에 따라 달라진다고 봅니다. 인간은 내부대상으로 자신과 대상 간의 관계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로 남아 대인관계에 영향을 끼친다는 과거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대와 현재의 대인관계가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이 이론은 애착대상과의 관계 이후에 형성하게 되는 대인관계의 유형을 결정하는 요소가 됩니다. 이러한 이론은 개인이 포함되어 있는 환경과의 경험에서 형성된 대인관계를 중요시한다는 측면이 심리사회모델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리고 체계이론과 생태체계관점은 개인이 환경과 서로 영향을 주는 개방체계이고 , 상호작용하는 개방체계의 맥락에서 개인의 행동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체계이론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여기에 자아심리이론 또한 관련이 있다. 이 이론은 개인의 내적인 상태과 외부적인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중요시 여기고 있습니다. 외적인 압박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개인의 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강조하여 개인이 존재의 가치, 안정감과 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정신적 , 신체적 문제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스트레스로 보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부적절한 대처기술은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부적절한 대처는 개인으로 하여금 불안과 염려를 조성하여 심하면 정신병리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자아심리이론은 개인의 적응능력 데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에 중심을 두는데 이러한 이론은 심리사회모델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심리사회모델의 주요특징

    심리사회모델의 특징은 심리적인 측면에서만 인간을 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측면과 함께 양자의 상호작용에서 얻어지는 결과에 대한 것도 같이 고려하면서 이해됩니다. 상황 속의 인간이라는 개념이 심리사회모델에서는 중요시됩니다. 인간을 둘러싼 사회 및 경제적인 상황과  인간의 문제에 대해서 심리적으로 함께 다루어 포괄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습니다. 

    심리사회모델은 정신역동이론의 영향을 받았지만 생물학적, 심리학적, 환경학적으로 영향뿐 아니라 체계의 상화작용도 다루었습니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치료적 관계형성을 중요시하는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관계형성을 위한 수용, 자기 결정존중등을 중요시 여깁니다. 자신의 사고, 감정 및 행동에 대해 알고 인식하는 것을 도와주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고자 합니다. 

    이러한 심리사회모델의 주요 전제는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존언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인간을 성장 및 학습할 수 있고 적응할 수 있으며, 사회와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또한 심리적인 체계는 생물학적, 사회적 체계와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필요로 합니다. 클라이언트의 문제상황은 같은 유형이라도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문제를 다루는 차별성을 중요시하였습니다. 또한 인간의 과거는 현재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며 클라이언트의 문제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했습니다. 이는 인간의 무의식이 인간의 경험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에 개인의 심리내적상태, 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등이 그 개인과 환경과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집니다.  사회복지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의 이러한 문제를 개인의 내적문제, 사회환경적인 문제,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문제를 보고, 이런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개인, 환경 및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문제에 대해 해결하기 위해 각각 개입하거나 동시에 함께 개입할 수도 있습니다. 

     

     

     

     

     

     

     

    가치와 실천원칙

    가치와 실천원칙에는 수용, 개별화, 자기 결정, 클라이언트의 현재상황에서 시작하기 가 있습니다. 

    첫째, 수용의 원칙이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유지해야 하는 태도로서 클라이언트가 어떤 행동을 하든지 간에 개인의 호감이나 불호감에 관계없이 온화함과 선한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회복지사의 개인적인 선호도와 관계없이 클라이언트의 내적감정이나 주관적인 상태 속에서 감정이입을 하면서 선의의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사회복지사가 수용과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의 나쁜 경험에 대해 넓게 느껴야 하고 이를 통해 협력적 관계형성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치료와 원조관계의 발전이 중요합니다. 

    둘째, 클라이언트가 개별적이고 독특한 특성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해하여  원조하는 내용이나 방법, 과정을 개별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개별화원칙이다.  개인의 욕구에 따라 개별적으로 개입과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여러 가지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도 차별화를 두어야 한다. 같은 문제라도 개인의 상황과 환경, 문화등의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차별적으로 다루어야 합니다. 

    세 번째, 자기 결정입니다. 이것은 사회모델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로서 클라이언트의  자기 지시 또는 자기 결정은 클라이언트에게 중요한 권리입니다. 스스로가 결정을 하고 그 상황에서 주체가 될 수 있는 태도를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책임을 지거나 선택에 대한 제안을 하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문제를 직시하고 생각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네 번째,  클라이언트가 인식하고 있는 문제를 존중하고 그 관점에서 문제에 대하 접근과 개입을 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의 현재 상황에서 시작하는 원칙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심리 사회 모델은 인간 심리의 복잡성과 사회 구조의 동적 관계를 조화시키려는 노력의 결과입니다. 다양한 역사적인 이론들과 개념에 기초를 두었으며,  상호관계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인간 행동과 사회 현상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현세계에서 여러 가지 도전을 극복하며, 심리 사회 모델에서 얻은 통찰력은 미래를 위한 정책, 실천 및 희망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아주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반응형